당화혈색소 측정 3개월간의 평균 혈당 조절 상태를 의미하며 2~3개월 간격으로 혈액검사가 필요합니다. 정상은 5.8% 이하이고 6.5% 이상을 당뇨병으로 파악하며 합병증 진행 예방을 위한 조절 목표치는 6.5%로 봅니다.
연속혈당측정검사 덱스콤 G7을 이용하며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보험급여 가능합니다. 동전 크기의 작은 센서를 상박 등에 부착하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최대 10일가량의 지속적인 혈당 변동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혈당 변동이 심하거나 조절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께 권해드립니다.
합병증 검사 미세알부민뇨 측정, 안저촬영검사, 신경반응검사 등을 통하여 당뇨병의 합병증 진행 여부를 확인합니다.
임신성 당뇨병 관리 태아 기형 및 거대아 출산 등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1일 4~7회의 혈당 측정 및 필요시 인슐린 투여를 시행합니다.
고혈압
심전도 검사 및 흉부 X-선 검사 부정맥 및 심장비대 여부 등을 측정합니다.
각종 합병증 관련 혈액검사
자가혈압측정 병원 내원 시 평소보다 혈압이 상승할 수 있어 집에서의 자가 혈압측정으로 정확한 혈압조절 상태 확인이 중요합니다. 필요시 원내 혈압계 판매 또는 대여로 자가 혈압측정을 도와드립니다.
이상지질혈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측정 8시간의 공복 유지후 혈액검사가 중요합니다.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며 나이 및 성별, 동반질환에 따른 맞춤 조절 전략이 필요합니다.
경동맥 초음파검사 경동맥은 뇌혈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혈관으로 이 부위의 동맥경화 또는 혈전 생성 여부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예측의 중요한 인자입니다. 병변이 발견될 경우 이상 지질혈증의 철저한 조절 및 1년마다의 추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갑상선질환
갑상선 기능 측정 갑상선호르몬 수치 및 자가항체 측정 등으로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 갑상선 결절 및 암의 발견, 수술 후 추적을 위하여 6개월~1년마다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임신 시 갑상선 질환 관리 임신 중에는 갑상선호르몬 수치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갑상선 이상 지속 시 태아 기형 및 유산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주기적인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골다공증
골밀도검사(DEXA) 여성 65세 이상, 남성 75세 이상 1년마다 측정을 권유하며 65세 이하여도 조기폐경,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 기타 소모성질환 환자일 경우 조기 검사가 권유됩니다. 척추 및 고관절 부위의 T점수 -2.5 이하이면 향후 골절 예방을 위하여 치료가 권유됩니다.
골다공증 관련 혈액검사 골흡수/골생성 표지자, 비타민 D 등의 검사가 치료 필요 여부 확인 및 치료 효과 판정을 위하여 필요합니다.
골다공증 치료제 여성호르몬 유사체, 주 1회 경구제제, 월 1회 경구제제, 혈관주사제제 (이바넬 주 : 3개월마다 투여), 표적치료 근육주사제 (프롤리아 주 : 6개월마다 투여) 등의 다양한 치료제로 골밀도 상승 및 유지를 위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D 영양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알레르기 질환
비염, 천식, 피부질환
폐 기능 검사 천식 및 만성폐쇄성 폐 질환의 진단 및 평가에 중요합니다. 정부 인증된 최신식 폐 기능 검사기기를 사용합니다.
MAST 검사 혈액검사로 80가지 이상의 알레르기 원인물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정밀검사이므로 채혈 후 5~7일간의 검사 기간이 소요됩니다.
각종 영양치료 및 항산화치료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투여 외에도 증상 및 경과 호전을 위한 다양한 비급여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